샐러드업계 1위 팜에이트, 스마트팜 대표주자
인공光 배양액 기류 등 10가지 조건
AI 빅데이터로 최적화…생산성 40배↑
세계 10대 스마트팜 공장 선정
日 중동에 설비 수출…매출 50%성장 예고

서울 상도역 실내수직농장 '메트로팜'에서 강대현 팜에이트 사장이 첨단 재배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대규 기자
서울지하철 7호선 상도역 개찰구에서 계단을 오르니 핑크빛 발광다이오드(LED)조명으로 가득한 수직실내농장이 보였다. 버터헤드레터스 카이피라 등 10가지 종류의 샐러드용 채소 2만1000포기가 231㎡(70평)면적의 6단 선반 위에서 빼곡하게 자라고 있었다. 상암 월드컵경기장(약 2800평) 면적에서 자랄 분량의 채소가 불과 40분의 1 공간에서 자라고 있는 것이다. 국내 최대 스마트팜업체이자 국내 최대 샐러드 판매업체인 팜에이트가 만든 지하철용 실내농장 ‘메트로 팜’이다.
팜에이트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농업에 도입해 생산과 품질을 배가시켜 샐러드 판매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킨 국내 스마트팜업계의 선두주자다. 서울내 5곳 메트로팜과 경기도 화성, 평택, 천안, 이천 등 대규모 스마트팜에서 새싹채소, 어린잎채소, 파프리카, 허브 등 150여종을 재배해 하루 6만5000팩, 30t의 샐러드를 판매한다. 혹한 폭우 폭염 등 각종 기후이변이나 계절과 상관없이 생산이 가능한데다 ‘무농약’수경재배로 토양오염과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하고, 도심지에서 재배해 수확후 곧바로 신선하게 먹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팜에이트라는 이름은 아직 대중에겐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일반 국민들은 누구나 한번 쯤은 이 회사가 재배·판매한 채소를 먹어봤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세계 최대 샌드위치 전문점인 서브웨이의 국내 매장에선 메뉴에 들어가는 양상추의 상당량을 이 회사에 의존하고 있다. 팜에이트가 최대 공급자다. 버거킹 역시 양상추의 상당량을 이 회사가 담당하고 있다. 롯데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등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등 급식업체를 비롯해 롯데리아, KFC, 스타벅스, CU, GS25 등에도 공급된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한 온라인 샐러드시장에서도 이미 국내 대표 온라인쇼핑몰 쿠팡에서 샐러드판매 1위 판매업체로 등극해 마켓컬리, 신세계몰, 배달의 민족(B마트), G마켓 등에서 판매되면서 SPC, 롯데푸드 등과 경쟁하고 있다.
팜에이트 매출은 2019년 472억원에서 2020년 590억원으로 25% 증가했고 올해는 52%오른 900억원을 목표로 세웠다. 매출의 85%는 샐러드용 채소 재배 및 판매에서, 15%가량은 스마트팜 설비 구축에서 나온다. 팜에이트는 첨단 재배기술이 녹아있는 설비사업 매출을 대폭 확대하기로 하고 작년 별도 회사(플랜티팜)로 독립시켰다. 관련 매출을 작년 80억원에서 올해 320억원으로 4배 가량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이 회사는 스마트팜 재배 기술에선 아시아 3대 어그테크(농업기술)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사의 경기 평택 본사 수직실내농장은 세계적인 네덜란드 종자기업으로부터 세계 10대 스마트팜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또 아시아에서 스마트팜 노하우가 가장 앞섰다고 알려진 일본에도 지난해 스마트팜 설비를 수출했다.